# 문제 설명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0kg]이고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이 100kg이라면 2번째 사람과 4번째 사람은 같이 탈 수 있지만 1번째 사람과 3번째 사람의 무게의 합은 150kg이므로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여 같이 탈 수 없습니다.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구출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의 몸무게를 담은 배열 people과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명보트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 제한 사항
- 무인도에 갇힌 사람은 1명 이상 50,000명 이하입니다.
- 각 사람의 몸무게는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항상 사람들의 몸무게 중 최댓값보다 크게 주어지므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 코드
def solution(people, limit):
cnt = 0
people.sort(reverse=True)
s, e = 0, len(people)-1
while s <= e:
if people[e] + people[s] <= limit: # 작거나 같으면
e -= 1
s += 1
cnt += 1
return cnt
# 풀이
2명이 보트를 탈 수 있다.
가장 큰 사람이 가장 작은 사람과 타는데 못 탄다면, 그것은 누구와도 탈 수 없다는 말이다.
의문점
1. 가장 큰, 가장 작은 사람끼리 타면 최적의 값인가?
2. 가 장 큰사람이 가장 limit의 알맞은 크기의 적당히 큰사람과 앉으면 최적이 될까?
(100, 30) <==> (70,30) 더 큰 사람이 먼저 작은 사람과 가주어야 더 많이 보낸다.
문제는 limit가 150일 때 (100,40)도 가능했었다는 것인데 이것 또한 반례로 더 작은 사람 80 85 90들이 남아서
40 이면 둘이갈수 있었는데 90이라서 둘이 못 가는 상황이라고 치면
어차피 100인친구 또한 80과 못 가기 때문에 같은 결과가 나온다.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
따라서 투포인터로 풀 수 있다.
또한 remove() 함수를 이용해서 나는 맨 왼쪽, 맨 오른쪽을 pop()하면서 코드를 짰는데
훨씬 더 많은 시간으로 효율성검사를 탈락했다.
'Programming > Algorithm(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python][DP] 12865번 - 평범한 배낭 (1) | 2023.12.25 |
---|---|
Short Circuit Evaluation - 정해진 결말 (0) | 2023.12.23 |
[코테준비] Python, 꼭 기억해야하는 함수 (0) | 2023.11.15 |
[DFS] leetcode 695번 Max Area of Island (0) | 2023.10.25 |
[DFS] leetcode 841번 Keys and Rooms, class이해 (2) | 2023.10.18 |